석기시대는 익숙해도 골기시대라는 말은 낯섭니다. 구석기 시대를 배경 작품에서 거대한 뼈를 들고 다니는 옛 사람들을 숱하게 봤음에도 어쩐지 그 시절은 돌의 시대로만 기억되는 듯합니다. 이번 이야기에서 김상태 작가님은 돌 도구에 가려진 뼈 도구의 진면목을 다룹니다.
인간으로서의 시작은 ‘진화’였지만 성장 과정은 ‘도구’다. 인간의 현대 문명과 문화에서도 도구 아닌 것은 사실상 없다. 인간만이 가진 고도의 무형유산인 정신문화조차도 도구를 통해 표현되고, 전수되며, 남겨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금의 우리가 까마득히 앞선 시대를 살다 멸종된 고인류의 정신세계를 조금이라도 엿볼 수 있는 것 역시 그들이 남겨둔 도구 덕분이다. 인간의 초창기 도구 중에서는 드물게도 자연계에서 인간만의 남다른 시각과 사고 체계를 보여주는 것들이 있다. 그것은 바로 뼈나 뿔 등으로 만든 도구다. 이번 글에서는 돌 도구의 강하디 강한 인상에 뒤에서 엉거주춤한 조력자처럼만 보이던 뼈 도구의 진면목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싶다. 뼈 도구 전반의 흐름을 짚기 위해서 주요 국면을 따라 모두 세 편으로 나누어 이야기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시기의 돌 도구는 케냐 투르카나Turkana 호수 근처에서 발견된 약 330만 년 전의 것이다. 성인 주먹보다 조금 더 큰 자갈돌을 거칠게 깨서 만든 찍개는 투박하지만 꽤 위협적이다. 이 석기를 사용했던 인간들의 눈에는 강가에 굴러다니는 주먹만 한 둥근 자갈은 전부 도구를 만들 재료로 보였을 것이다. 언제든 적당한 것을 골라서 두드려 깨면 생산 활동에 동원할 수 있었으니까.
돌에 비하면 동물의 뼈나 뿔은 고기라도 붙어 있지 않는 한 그저 쓰레기일 뿐이다. 육식동물들이 거칠게 뜯어 먹고 남긴 뼈의 잔해는 더욱 그러했을 것이다. 인간을 비롯해 채집에 의존했던 잡식성 동물들은 그 잔해에서 먹을 수 있는 것만 챙기고 남은 건 그대로 버렸을 것이다. 그러나 일부 인간들은 예외였다. 초기 인간 종 중 하나가 다른 동물들에게는 쓰레기에 불과했던 뼈 조각을 관심 어린 시선으로 관찰했던 것 같다. 수북한 뼈 더미에서 간간이 적당한 크기의 뼈를 골라 도구로 사용했던 증거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림 1. 남아공 스와르트크란스(위)와 크롬드라이(아래) 유적의 뼈 도구]
뼈는 돌에 비해 훨씬 빨리 썩어 없어진다는 것은 상식이다. 그래서 돌보다 뼈가 먼저 도구로 사용되었는데 모두 썩어버렸기 때문에 알 수 없는 것 아니냐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증거로 볼 때 그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이제까지 알려진 뼈 도구들 중 가장 이른 제작 연대가 약 180∼100만 년 전 무렵인데, 같은 시기의 돌 도구에 비하면 가공 수준이 한참 떨어지기 때문이다.
초기 인류의 요람으로 일컬어지는 남아공의 스와르트크란스Swartkrans와 스테르크폰타인Sterkfontein, 드리몰렌Drimolen 등의 유적 밀집지에서는 초기 뼈 도구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스와르트크란스는 표범에게 사냥당한 파란트로푸스 로부스투스Paranthropus robustus의 머리뼈가 발견되어 유명해진 유적이다. 동굴에서는 많은 양의 동물 뼈가 발굴되었는데, 그중 일부에 도구로 사용한 흔적이 남아 있다. 발굴 이후 몇 차례 정밀한 분석을 통해 약 20여 점의 도구를 선별했다. 도구로 선택된 뼈들은 포유류의 팔다리뼈 중에서 길이가 13∼19센티미터 정도 되는 부분이다. 팔다리뼈는 다른 부위에 비해 길고 곧으며 좀 더 단단하다. 특정 부위의 뼈를 선호하였다는 것은 그 부위가 가진 특성에 착안하였다는 의미로, 이미 300만 년 전부터 석기를 제작하며 쌓아 온 지적 성취의 연장선상에서 충분히 가능한 행동이라 할 수 있다.
구석기 고고학을 전공하고 전기 구석기 시대 뗀석기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강원도 양구군 상무룡리 유적 발굴을 통하여 본격적으로 구석기 연구를 시작했으며, 그 밖에 제주도 최초의 구석기 유적인 서귀포시 생수궤 등 여러 발굴에 참여했다.
1996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박물관 업무를 시작했으며, 이후 유물관리부와 고고부, 전시팀 등 여러 분야에서 일하며 관련 저술과 전시로 활동을 넓혔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춘천박물관, 국립한글박물관 등에서 일했으며, 현재는 국립나주박물관 관장으로 일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최초의 진화 인류학 특별 전시 〈호모 사피엔스: 진화∞관계&미래?〉(2021년 5~9월) 등을 주관했다.
지은 책으로 구석기 시대에 관한 한국 최초의 교양 입문서 『단단한 고고학』, 구석기 시대에 인류가 사용한 도구를 연구한 『한국 구석기 시대 석기군 연구』와 『한국미의 태동 구석기·신석기』(공저), 박물관 큐레이터와 큐레이터 지망생을 위한 실용적인 유물 관리 지침서 『박물관 소장품의 수집과 관리』 등이 있다.
『시간 속의 너에게』 오인오색 인터뷰가 지난주에 발행되었습니다. 제10회 한낙원과학소설상 작품집에 참여한 작가들의 인터뷰를 요약했습니다. 지난 북뉴스에도 독자의 소중한 피드백이 있었는데요. 늘 그렇듯 고마운 마음을 담아 피드백에 답합니다.
👀: 독자 | 🎱: 담당자
👀 옥동자
SF와 청소년의 조합. 나이 들어서 청소년기를 돌아보니 그 어림이 공상과학 같네요. 그때 나의 몸과 마음 모두 시간 속에 있습니다. 책이 많이 읽혔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옥동자 님? 지난 시절이 믿기지 않는다는 말씀에 깊이 공감합니다. 어리든 어리지 않든, 시간이 어느 정도 지난 일들은 자연스럽게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독자님 덕분에 책이 많이 읽힐 것 같습니다. 더위 조심하세요 : )
오랜만에 만난 마시멜롱과 털숭숭이, 그리고 새로운 얼굴 츠츠츠츠와 즐거운 시간 보내고 계신가요? ‘츠츠츠츠’와 함께 찍은 사진, 내 책장에 안착한 ‘츠츠츠츠’ 사진 등 내가 소장하고 있는 그림책 #츠츠츠츠 를 소개해주세요! ⠀ 사진을 아래의 필수 해시태그와 함께, 인스타그램 게시물로 업로드하면 참여 완료 #츠츠츠츠_구매인증#츠츠츠츠#냐무냐무#사계절그림책 ⠀ 참여해 주신 분들 중 20분을 선정해 귀엽고 사랑스러운 ‘마시멜롱 이모티콘’을 드립니다. ⠀ 📌 기간: 7월 12일(금) ~ 7월 28일(일) 📌 발표: 7월 29일(월)
E. H. 카는 역사를 “현재와 과거의 대화”라고 정의했는데, 나는 역사를 “현재완료 진행형”의 유기체라고 풀이하곤 한다. 역사는 지금과는 직접 상관이 없는 단순 과거형이 아니라 현재와 부단히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어떤 역사적 사건은 반드시 전후 맥락을 보아야 한다는, 너무 당연해서 사람들이 오히려 소홀히 하는 우를 범하지 말자. 최대한 이념성을 배제한 현재적 시각에 통시적 안목을 더할 때, 당대적 맥락도 자연스레 그 안에 녹아들게 마련이다. 여러분과 『아버지의 그림자』를 읽고 역사를 대화하고 싶다.